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7

S&P (Standard & Poor's) 세계 3대 신용평가회사 S&P (Standard & Poor's)세계 3대 신용평가회사(무디스, S&P, 피치)의 하나인 S&P가 국가신용등급을 조정했다라는 뉴스가 나올 때마다 주식시장은 크게 반응하곤 합니다, 막대한 영향력을 가진 S&P는 어떤 회사일까요?1. 두 금융 거인의 만남으로 시작된 S&PS&P Global(스탠다드 앤드 푸어스 글로벌)의 역사는 19세기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1860년 헨리 바네움 푸어(Henry Varnum Poor)는 미국 철도 산업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책 '미국 철도의 역사(History of Railroads and Canals in the United States)'를 출판했습니다. 이것이 훗날 '푸어스 매뉴얼(Poor's Manual)'이라는 투자 안내서로 발전했습니다.  한편, 19.. 2025. 4. 11.
무디스(Moody's Corporation) 역사와 영향력 세계 3대 신용평가회사 무디스(Moody's Corporation) 역사와 영향력세계 3대 신용평가회사(무디스, S&P, 피치)의 하나인 무디스는 최근 트럼프의 관세 정책으로 미국의 재정이 악화될 수 있다고 경고 했습니다. 거의 미국에서 유일하게 트럼프의 정책을 비판할 수 있는 신용평가 회사라는 평가가 있습니다. 무디스는 어떤 회사일까요.1. 작게 출발하여 세계적 기관으로 무디스1900년대 초, 미국 월스트리트에서 존 무디(John Moody)라는 한 분석가가 있었습니다. 그는 1909년 철도회사 채권에 대한 정보를 담은 책 '무디스 철도투자 분석'을 출판했습니다. 이 책은 당시로서는 혁신적인 접근법이었습니다. 왜냐하면 투자자들에게 각 회사의 재무 상태와 위험도를 쉽게 비교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했기 때문입니다. 초기의 성공에.. 2025. 4. 11.
공매도란 무엇인가? 원리부터 이슈까지 공매도란 무엇인가? 원리부터 이슈까지주식 시장에서 종종 들리는 '공매도'라는 용어, 최근 대한민국에서 공매도가 금지 되었다가 다시 공매도를 할 수 있게 되어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1. 공매도의 기본 개념주식 투자의 기본 원칙은 '싸게 사서 비싸게 팔기'입니다. 하지만 공매도는 이 순서를 뒤집은 독특한 투자 방식입니다. '비싸게 팔아서 싸게 사는' 전략이죠. 아직 소유하지 않은 주식을 빌려서 먼저 판매한 후, 나중에 가격이 떨어졌을 때 다시 사들여 빌린 주식을 갚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A라는 회사의 주가가 지금 10만 원인데, 앞으로 가격이 떨어질 것이라고 예상한다면 어떻게 할까요? 공매도 투자자는 증권사나 다른 기관에서 A회사 주식을 빌려 10만 원에 판매합니다. 만약 예상대로 주가가 8만 원으로 떨.. 2025. 4. 7.
'포트 녹스' 최근 경제 뉴스에 자주 등장 트럼프, 머스크가 최근 언급한  '포트 녹스' 최근 경제뉴스에 자주 등장1. 포트 녹스의 탄생 배경미국 켄터키주에 위치한 포트 녹스는 세계에서 가장 안전한 금고로 알려져 있습니다. 공식 명칭은 '미국 금괴 보관소(United States Bullion Depository)'이지만, 대중들에게는 포트 녹스라는 이름으로 더 친숙합니다. 이 시설이 건설된 배경에는 1930년대 대공황과 세계 정세의 불안정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경제적 혼란기에 미국 정부는 국가의 금 보유량을 안전하게 보관할 필요성을 절감했고, 이에 따라 건설 계획이 시작되었습니다. 역사적 관점에서 살펴보면, 1933년 프랭클린 D. 루즈벨트 대통령의 행정명령 6102호가 포트 녹스 건설의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습니다. 이 행정명령은 민간인들이 소.. 2025. 3. 31.
자작나무 자작나무위도가 높은 곳에서 자라기 때문에 시베리아나 북유럽, 동아시아 북부, 북아메리카 북부 숲의 대표적인 식물입니다. 하얗고 벗기면 종이처럼 벗겨지는 껍질, 목재는 아주 단단하고 곧기 때문에 여러 지역의 많은 민족이 영험한 나무라고 여기며 신성시 하였습니다. 자작나무는 추운 기후에서 자라기 때문에, 우리나라에서는 대전 이남에서 심으면, 대부분 오래 가지 못하고 말라죽습니다. 수도권에서도 잘 자라는 것을 보기 힘든데, 그나마 한반도 중부지방에서는 살 수 있어서 가로수나 조경수로 심어 놓곤 합니다. 그러나 지구 온난화가 가속화되면서 이마저도 힘들 듯이 보입니다. 북한은 당연히 기후 조건이 맞고, 남한에서 기후 조건이 맞는 곳은 강원도 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남한에서 제대로 된 자작나무 숲을 볼 수 있는 곳.. 2025. 3. 8.